[난방] 센트럴 히팅의 장단점이 무엇일까요? > 생활/지역

본문 바로가기

 <  묻고답하기  <  생활/지역

[난방] 센트럴 히팅의 장단점이 무엇일까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EMM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6.♡.9.237) 댓글 2건 조회 3,847회 작성일 13-10-14 19:29

본문

안녕하세요.

지난 겨울까지는 하우스에 살다가 이번엔 Flat으로 이사를 했는데 이 곳 난방은 Central Heating 입니다.
보일러 자체를 켜고 끌수 있는 스위치가 있으며,
이 스위치를 켠 후, 각 방의 라디에이터를 또 켜고 끄는 방식입니다.

결론적으로 Central Heating의 장점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부동산에서 난방 방식이 Central Heating이라고 강조 하는걸 봐서는 장점인것 같긴 한데요...
말 그대로 해석하면 중앙난방인것 같은데 개별난방과의 정확한 차이를 모르겠어요. 

혹시 Central Heating은 24시간 보일러를 켜놔도 알아서 보일러가 켜졌다 꺼졌다 하는것을 의미하나요?

그런데 분명히 집마다 계량기가 있고 저희 옆집과의 계랑기 숫자가 엄청 차이나는걸로 봐서는 24시간 틀어놓으면 당연히 그만큼 계량기 숫자가 올라가서 나중에 가스비 폭탄을 맞을것 같긴 한데요...

 
그리고 영국은 우리나라랑 달리 라디에이터로 난방을 하는데요.
문제는 이 방식은 날씨가 추울수록 일정 수준으로 온도를 올리기 까지 매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과
보일러를 끄면 급속히 온도가 낮아지며,
우리나라에 비해서 전기, 가스비가 매우 비싸다는 것이 큰 문제죠.

일반적으로 라디에이터는 각방과 거실 주방 화장실등에 하나씩 있는데,
가스비를 아끼겠다고 잘 사용하지 않는 곳의 라디에이터는 끄는것이 아무런 효과가 없다고 하는데 이것이 사실인가요?
이유는 집안의 라이데이터를 하나를 켜나 5개를 켜나 난방비는 똑같이 나온다고 하던데...진짠가요?


그렇지 않아도 비싼데 가스, 전기, 물 값은 계속 오르고 겨울은 매년 더 추워지고....
어떻게 난방을 조절하는것이 가장 효율적으로 겨울을 보낼 수 있는지 전문가님들의 조언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비추천0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1lol1님의 댓글

no_profile 1lol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86.♡.128.118) 작성일

Central Heating 이랑 빌딩 자체에서 뜨거운 물을 준비 한다는 것입니다. 즉, 전기를 사용하던 가스를 사용하던, 각각 개별 히팅 장치가 있는 것이 아니라, 전체 히팅을 한다는 것입니다.
Central Heating하면, 각 호실별로 뜨거운 물을 각 호실별 물통에 보내 주는 것이 있읍니다. ( 샤워를 위해서 ) 이때, On/Off를 솔레로이드 벨브로 하고, 모터로 펌핑을 합니다. 그리고, 물통도 경우에 따라서는 미리 세팅을 한 온도로 공급받으신 물이 일정 온도를 유지하게끔 히팅을 합니다.
그리고, 라디에터는 이 물을 각 라디에터로 보내서 공기와 순환을 하여 방안 온도를 덮히는 것입니다. 라디에터도, 각 라디에터에 팬이 달려 있는 강제 순환식과, 팬 없이 되어 있는 자연 순환식이 있읍니다. 바람이 막 불어 나오면 강제 순환식입니다.

기본적으로 열을 많이 사용한 만큼 돈을 지불 해야 하겠지만,
그냥 결론적으로 말하면...
1. Central heating - 열 사용 단가가 싸다. 왜냐하면 단체로 하기때문에 단가 자체가 쌉니다. 개인이 사용하는 전기료 보다 훨씬 쌉니다...한 1/10 정도로...
2. Centrla heating 용 라디에터의 경우 - 다 틀어도 된다...갯수로 내는 것이 아니라 사용한 열량..
즉, 다 틀면 원하는 온도로 올라가는 시간이 짧아짐...

해오름님의 댓글

no_profile 해오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86.♡.220.112) 작성일

윗 분이 소개한 것처럼 Central Heating 이랑 빌딩 자체에서 난방, 온수를 공급한다는 것이 옳은 개념이겠지만, 영국에서는 Central Heating을 달리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면, 일반 가정 집의 경우 보일러가 하나 있고 이 보일러를 통해 집 안 곳곳을 난방하는 경우도 central heating이라고 표현합니다.  부동산 소개소 홈페이지를 보면 대부분의 가정 집이 central heating이라고 되어 있음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현재 살고 계신 집 안에 보일러가 있다면 이러한 의미의 central heating이라고 보면 될 것입니다.

Total 8,191건 182 페이지
생활/지역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4571 no_profile 경상도남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48 2013-10-14
4570 no_profile uk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51 2013-10-15
4569 no_profile 정병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852 2013-10-16
4568 no_profile 하늘바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8 2013-10-14
열람중 no_profile EMM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848 2013-10-14
4566 no_profile uk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249 2013-10-15
4565 no_profile 은지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4 2013-10-14
4564 no_profile uk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48 2013-10-15
4563 no_profile YU118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23 2013-10-14
4562 no_profile 엔젤더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96 2013-10-13
4561 no_profile uk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0 2013-10-13
4560 no_profile 녹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91 2013-10-13
4559 no_profile uk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08 2013-10-13
4558 no_profile iamsam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411 2013-10-13
4557 no_profile 정영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4436 2013-10-13
4556 no_profile uk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9 2013-10-13
4555 no_profile 김동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993 2013-10-12
4554 no_profile 소희남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 2013-10-12
4553 no_profile uk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60 2013-10-13
4552 no_profile 줄리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39 2013-10-12
게시물 검색
내가 쓴 글 보기
묻고답하기
우수게시물 모음
비자
생활/지역
학교/학원
기타